비타민A 생리적 기능
비타민A는 동물성, 식물성 식품에서 모누 섭취가 가능한 영양소입니다.
비타민 A는 동물성 식품과 식물성 식품으로 섭취할 수 있다. 비타민 A는 지용성 비타민이므로 지방이나 기름과 결합했을 때에만 체내로 흡수된다.
비타민 A는 동물성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며 녹황색의 식물성 식품에는 체내에서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티노이드의 형태로 들어 있다. 비타민 A의 전구체인 베타카로틴은 장과 간에서 레티놀로 전환되며, 전환되지 않은 베타카로틴은 체내에서 85%가 지방조직에, 10%는 간에, 나머지는 다른 조직에 널리 퍼져 있다.
동물성 식품에 존재하는 비타민 A는 장에서 가수분해되어 장 점막세포로 흡수된다. 흡수된 레티놀은 장점막 세포에서 유미지립(chylomicron)에 결합되어 임파계를 통해 혈액으로 들어간다. 섭취된 비타민 A의 50%이상이 레티놀 에스테르(retinyl ester)의 형태로 간에 저장된다.
동물성 식품에 존재하는 비타민A는 장에서 가수분해되어 장 점막세포로 흡수되며, 섭취한 비타민A의 50% 이상이 에티놀 에스테르의 형태로 간에 저장됩니다.
식물성 식품에는 비타민A라기보다는 비타민A의 전구체인 카로티노이드로서 존재하는데, 카로티노이드는 과일과 채소의 붉은색, 녹황색, 노란색, 오렌지색 등을 나타내는 색소를 말합니다.
카로티노이드 생성물질로는 알파카로틴(α-carotene), 베타카로틴(β-carotene), 루테인(lutein), 라이코펜(lycopene), 크립토잔틴(cryptoxanthin), 칸타잔틴(cantaxanthin), 지아잔틴(zeaxanthin) 등 자연계에 약 500여 종이 존재하지만, 이들 중 알파카로틴, 베타카로틴, 베타크립토잔틴(β-cryptoxanthin) 등 50여 종만이 레티놀(retinol)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들 성분들은 흡수될 때 장막에서 비타민A로 전환됩니다.
비타민A 가능성
식약처에서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인정받은 비타민A의 기능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두운 곳에서 시각 적응을 위해 필요
피부와 점막을 형성하고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
상피세포의 성작과 발달에 필요
결핍증과 과잉증
비타민A는 신체 저항력을 강화시키는 영양소로 생체막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상피세포의 성장인자로서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켜 구강, 기도, 위 장의 점막을 보호합니다.
베타카로틴의 체내 기능은 노화 지연, 항암 효과, 당뇨병 합병증 예방, 폐 기능 증진 등이며, 주요 급원은 당근, 늙은 호박, 고구마, 브로콜리, 시금치, 케일, 살구, 망고, 파파야, 키위 등이다. 자연 상태의 베타카로틴은 항산화 작용이 더욱 강력하다. 카로티노이드의 역할은 동맥경화증을 예방하고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A가 부족하게 되면 상피세포들은 점차 단단하고 건조한 각화성 조직으로 변하며 점액의 분비기능이 상실되어 박테리아의 침입을 쉽게 받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야맹증, 안구건조정, 각막연화증과 같은 눈관련 질환이 대표적인 비타민 A 부족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좋은 영양소인 비타민A도 과잉 섭취시 독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데, 과량 섭취로 인한 독성의 주요 증후로는 피로감, 두통, 구역질, 설사, 식욕 부진, 체중 감소, 피부 건조, 어지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간 손상, 출혈, 혼수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임신부가 과잉 섭취하면 태아의 조산과 기형을 불러오기도 합니다.
물론, 이러한 독성 증상은 성인은 15,000㎍(50,000IU), 어린이는 6,000㎍(20,000IU)를 식품과 보충제를 통하여 매일 섭취하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권장량 및 급원 식품
비타민 A의 동물성 급원 식품은 동물 간, 생선 간유, 전지분유, 달걀 등이며, 베타카로틴은 녹황색 채소(당근, 시금치 등)와 해조류(김, 미역 등)에 많이 들어 있습니다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의한 성인(20∼49세)의 1일 비타민 A 권장섭취량은 남자 750㎍RE, 여자 650㎍RE(한국영양학회, 2005년).
비타민 A 급원 식품과 함유량(㎍RE/100g)
돼지고기 간 10119, 당근 1270, 늙은호박 삶은 것 1180, 홍고추 생 것 1078, 고춧잎 생 것 764, 단호박 생 것 670, 적색 파프리카 509, 단감 47
'식품 전공자가 말하는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B2 효능 기능성 결핍증 과잉증 (0) | 2023.12.07 |
---|---|
비타민B1 효능 기능성 결핍증 과잉증 (1) | 2023.12.06 |
비타민E 효능 기능성 결핍증 과잉증 (0) | 2023.12.04 |
비타민D 효능 기능성 결핍증 과잉증 (2) | 2023.12.03 |
비타민C 효능 종류 과잉증 결핍증 (0) | 2023.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