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B2 생리적 기능
노란색∼주황색 비늘 모양의 결정 또는 결정성 가루로 약간의 냄새가 있고 쓴맛을 가진 영양강화제이다.
리보플라빈이라고도 한다
비타민 B2(리보플라빈)는 수용성이며 세포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는 물질대사에 참여한다. 열, 빛, 술, 피임약 등이 비타민 B2를 파괴하는 요소들이다.
식품 속의 리보플라빈은 FMN과 FAD 형태로 단백질과 결합하여 존재한다. 리보플라빈은 산화-환원 반응 기능이 있다. 즉 조효소가 기질에서 전자를 받든지 또는 기질에 전자를 준다. 이에 리보플라빈 조효소는 환원되고 기질은 산화된다. 반대로 리보플라빈은 산화되고 기질은 환원된다.
식품 중에서 비타민 B2는 FMN, FAD 형태로 단백질과 결합하여 존재하며, 섭취 후에는 위장에서 염산에 의해 결합 형태가 끊어져 FAD, FMN가 방출되고, 이어서 소장의 윗부분에서 피로인산분해효소(pyrophosphat-ase)와 인산분해효소(phosphatase)에 의해 리보플라빈으로 전환된 후 흡수됩니다. 따라서 식품의 비타민 B2 이용도는 FMN이나 FAD가 가수분해되어 유리 리보플라빈으로 전환되는 정도에 의해 좌우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흡수기전은 낮은 농도에서는 능동운반이며, 높은 농도에서는 촉진확산됩니다.
혈액에서 비타민 B2는 일부 혈장알부민과 결합되어 운반되나, 대부분은 면역글로불린과 결합되어 운반되는데, 임신 시에는 운반단백질과 결합된 리보플라빈이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됩니다. 리보플라빈은 대부분의 조직에서 FMN, FAD로 전환되며 특히 간장, 심장, 신장에서 함량이 높습니다. 망막과 유즙에는 유리 리보플라빈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리보플라빈은 소량이 담즙과 땀을 통해 배설되고 대부분은 유리 리보플라빈 형태로 또는 산화대사물 형태로 소변을 통해 배설되기 때문에. 식이 보충제 형태로 과량의 비타민 B2를 섭취하면 소변 색깔이 밝은 황색으로 변하기도 하니 소변이 갑자기 너무 노랗다고 해서 놀라지 않아도 됩니다.
비타민 B2의 가능성
식약처에서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인정받은 비타민 B2의 기능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체내 에너지 생성에 필요
결핍증과 과잉증
비타민 B2의 결핍증세는 주로 구강에 나타나는 구각염, 구순염, 설염 등과 구강염, 코, 입 주위의 안면이나 음낭, 외음부의 지루성피부염, 안구충혈이나 광선공포증, 조로성 백내장, 빈혈 등이 있습니다. 경미한 결핍 시 사람들은 신체활동 중에 쉽게 피곤을 느낀고, 심한 결핍 시 나타나는 초기 증상은 입과 혀의 염증이 생깁니다.
사람에게 길항물질을 투여하지 않고 비타민 B2 결핍식이(권장량의 1/4 정도)만을 주었을 때 94~130일 후에 결핍증상이 나타났으나, 비타민 B2를 매일 5㎎씩 섭취시킨 후 관찰해보니 결핍증상이 치유되었다 할정도로 대체로 식품에는 비타민 B2, 비타민 B1, 나이아신과 같은 비타민 B군이 동시에 함유되어 있으므로, 비타민 B2 부족 단독에 의한 결핍증은 거의 보고 된 바 없고 다른 영양소의 부족과 관련된 대사경로의 장애로 의한 결핍이 대부분입니다. 경구피임약을 복용하는 사람, 당뇨병 환자, 알코올중독자, 간질환자, 심혈관계 질환자 등은 비타민 B2결핍 위험이 있으니 별도 영양제로서 섭취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과잉증으로는 비타민 B2를 고용량 섭취하였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리보플라빈의 배설량이 증가되면서 노란색 소변이 배설되는 정도입니다. 이는 사람의 위장관에서 리보플라빈을 흡수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소변으로 단시간에 배설되기 때문인데,
비타민 B2 섭취와 관련하여 최저독성량(LOAEL)이나 무독성량(NOAEL)을 결정할 수 있을 만큼 자료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비타민 B2의 한국인 상한섭취량을 설정되어있지 않습니다.
※ 미국과 유럽연합도 비타민 B2에 대해서는 상한섭취량을 설정하지 않지만. 반면 영국은 무독성량을 400㎎/일으로 정하고, 연구 대상자의 수가 적고 자료가 충분치 않은 점을 고려하여 불확실계수 10을 적용하여 상한섭취량을 40㎎/일로 정하였다 합니다.
권장량 및 급원 식품
비타민B2은 육류, 어류, 녹색 채소류, 곡류, 난류, 건조효모, 우유, 치즈, 계란, 육류, 맥아, 시금치 등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연령 | 권장 섭취량(mg) |
성장기 | 1.5 |
성인기 | 1.2 ~ 1.5 |
노인기 | 1 ~ 1.4 |
임신기 | 1.6 |
수유기 | 1.7 |
'식품 전공자가 말하는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이섬유 효능 변비 섭취 주의사항 (0) | 2023.12.09 |
---|---|
마그네슘 효능 기능성 결핍증 과잉증 (0) | 2023.12.08 |
비타민B1 효능 기능성 결핍증 과잉증 (1) | 2023.12.06 |
비타민A 효능 기능성 결핍증 과잉 (0) | 2023.12.05 |
비타민E 효능 기능성 결핍증 과잉증 (0) |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