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C 생리적 기능
아스코르브산이라고도 하며. 화학식은 C6 H8 O6 로 괴혈병에 특효가 있는 물질로 발견되었습니다. 비타민C를 최초로 개발한 사람은 1928년 헝가리의 A. 센트죄르지라는 사람으로 소의 부신피질로부터 분리하여 만들었다고 합니다.
현재는 소르보스로부터 케토굴론산을 거쳐 공업적으로 합성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비타민입니다.
천연에서는 녹차·레몬·시금치·양배추 등에 많이 들어 있고, 동물체 내에서는 부신피질 속에 특히 많이 들어 있습니다.
ㄱ
대부분의 포유류는 아스코르브산을 글루코스 로부터 합성할 수 있으나, 사람과 원숭이는 체내 합성이 불가능하므로 음식물을 통해 섭취해야만 하는데. 성인의 1일 필요량은 약 100 mg 으로, 다른 비타민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을 필요로 하는 편입니다.
사람과 원숭이는 아스코르브산이 결핍되면 괴혈병을 일으키는데, 화학적 성질은 분자 속에서 하나의 이중결합에 2개의 수산기가 붙은 구조(엔디올 基 )를 가지고 있으므로 환원성이 매우 강한 성분입니다. 생체 내에서는 아스코르브산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산화되어 탈수소아스코르브산이 되는데. 이 반응은 가역반응 으로 생체 내의 산화환원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 타이로신·페닐알라닌 등의 대사작용에도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고, 타이로신으로부터 생성되는 흑갈색 색소인 멜라닌 의 형성도 아스코르브산이 있는 곳에서는 억제됩니다.
비타민C의 종류
가장 흔하게 볼 수 있으며 가장 많이 섭취하는 비타민류인 비타민C! 이 비타민C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는걸 아시나요?
1.일반 비타민C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타민C 원료로 신맛과 산도가 있습니다. 간혹 위가 약한 경우 건강을 위해 섭취한 비타민C가 오히려 위염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500mg 이상 섭취는 식 후 섭취를 권장드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용성 비타민이기 때문에 과하게 섭취해도 필요한 양만 흡수 후 남은 양은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2. 중성 비타민C
중성 비타민C는 신맛이 없고 pH도 7로 맞춘 비타민C 원료 중 하나입니다.
주로 신맛을 싫어 하시거나 위가 예민한 분들도 섭취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식전, 공복에도 섭취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 리포좀 비타민C
비타민C에 리포좀 제형 기술을 적용시킨 원료로 비타민C를 인지질로 코팅하여
체내흡수율을 높인 비타민C입니다. 인지질로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위가 예민한 사람도 섭취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비타민C 기능성
식약처에서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인정받은 비타민 D의 기능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결합조직 형성과 기능유지에 필요
철의 흡수에 필요
항산화 작용을 하여 유해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필요
결핍증과 과잉증
비타민C의 대표적인 결핍증으로는 괴혈병이 있습니다.
괴혈병은 비타민 C 부족이 3개월 이상 진행되면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결합조직에 이상이 생기면 우리 몸의 어느 기관에서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출혈, 전신 권태감, 피로, 식욕부진 등이 나타나며 피부가 건조해져 거칠어지다가 결국 피하출혈이 나타납니다. 병이 진행되면 특히 압력을 받는 잇몸, 근육, 골막과 피하 점막이 약해지면서 피가 나와 그 부위가 몹시 아프며, 혈뇨와 혈변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비타민C를 과잉섭취할 경우 위장 장애나 신장결석 등의 부작용이 나타알 수 있으며, 처음에는 복용량의 70~80%가 흡수되지만 그 이상 먹으면 흡수율이 50% 이하로 떨어져 결과적으로 복용 효율이 크게 낮아질 수 있습니다.
한 매체에서는 하루 2000mg 이사의 비타민C를 섭취 할 경우 신장결석등의 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와있어 과다섭취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권장량 및 급원 식품
비타민C의 대표적인 급원식품으로는 계절변화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딸기, 오렌지, 레몬, 고추, 귤, 브로콜리, 토마토, 시금치, 키위 등이 있습니다.
주로 새콤한 과일에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C 평균 필요량은 남녀 구분 없이 100mg/일 입니다.
'식품 전공자가 말하는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B2 효능 기능성 결핍증 과잉증 (0) | 2023.12.07 |
---|---|
비타민B1 효능 기능성 결핍증 과잉증 (1) | 2023.12.06 |
비타민A 효능 기능성 결핍증 과잉 (0) | 2023.12.05 |
비타민E 효능 기능성 결핍증 과잉증 (0) | 2023.12.04 |
비타민D 효능 기능성 결핍증 과잉증 (2) | 2023.12.03 |